카테고리 없음

일시적 2주택 비과세 요건 확인 / 양도세 보다 리스크 대비가 먼저!

노란민들레3 2024. 7. 25. 09:12

일시적 2주택을 활용해서 아파트 투자하다 2년 고생한 이야기 들려드릴게요.

욕심이 앞서니 앞에 놓인 것은 고생뿐이 더라구요.

부동산 상승기 2020년 4월에 1주택을 구입했습니다. 그리고 입지를 높여 2021년 9월에 2주택을 구입했어요.

1주택이 실거주 2년을 못 채워 2023년 9월까지 매매를 하면 된다는 계획을 세웠습니다.

일시적 2주택_ 비과세 요건 확인_ 양도세 보다_ 리스크 대비가 먼저!

 

그런데, 다들 아시죠. 부동산 하락기로 돌아서 30% 하락은 보통이 되었습니다. 매수한 집값은 3억 가까이 떨어지고, 매도할 집은 1년 6개월이 되도록 매매가 되지 않았습니다. 우선 취득세 중과가 문제가 되더 라구요. 

이자는 높아지고 수입은 줄고 밤에도 잠을 이룰 수가 없었습니다. 

 

일시적 2주택 비과세 요건 확실하게 알고 계신가요. 당황하게 되니 안다고 생각되었던 것도 확신이 없게 됩니다.

 

일시적 2주택 비과세 특례 확인

일시적 2주택_ 비과세 요건 확인_ 양도세 보다_ 리스크 대비가 먼저!일시적 2주택_ 비과세 요건 확인_ 양도세 보다_ 리스크 대비가 먼저!

종전주택 1세대 1주택 비과세 요건

  •    종전주택 2년 이상 보유
  •    취득 당시 조정대상지역은 2년 이상 거주

종전주택 갈아타기 (1년 경과 취득, 3년 이내 양도)

  • 신규주택 취득 - 종전주택 취득일로부터 '1년 이상 경과'
  • 종전주택 양도 - 신규주택 취득일로부터 '3년 이내' 
  • 소득세법시행령 제155조 확인 

상속주택 양도세 부과 기준

  • 상속 당시 일반주택 보유 중인 1세대 1주택자
  • 상속 후, 일반주택 팔아야 '비과세'
  • 주택 상속 후 취득한 주택은 '과세'  

기타 사항(오피스텔,  기타  비과세 조건)

  • 주거용 오피스텔은 주택으로 사용한 날부터 양도일까지 2년 이상 보유
  • 부득이한 사유가 있는 경우 1년 이상 거주한 주택 '비과세' - 사유 확인 필수
  • 생활을 같이하면 동일세대로 인정되며 각자 주택을 소유한 경우 비과세 적용 불가   

 

일시적 2주택 비과세 계획 리스크 대비

매매하기 위해 집을 얼마나 쓸고 닦았는지 모르겠네요.  이게 다 욕심이 화근이 되었습니다.

다행히도  2023년 9월에 첫 번째 주택이 매도가 되었습니다. 

70대 어르신이 매수해 주셨는데 우리 집 살려주셨다 하는 생각이 들 정도였습니다. 

일시적 2주택_ 비과세 요건 확인_ 양도세 보다_ 리스크 대비가 먼저!일시적 2주택_ 비과세 요건 확인_ 양도세 보다_ 리스크 대비가 먼저!

 

 

종전 주택 매도를 하면서 느꼈던 생각을 알려드릴게요. 매도 계획이 있으시다면 참고해 주세요   

 

 

종전 주택 매도 보유기간  확보(1년 이상)

매도가 어려울 경우 취득세 중과 자금 준비 

화장실 후드, 중간 문 고장 등 잔고장은 미리 수리하기

청소와 정리는 기본

 

상급지로 갈아타기 위해 일시적 2주택 많이 활용하실 겁니다.계산상으로는 안될 이유가 없지만 안 되는 게 인생인지.... 일시적2주택비과세 요건을안다 해도리스크 대비까지 계획되어 있지 않는다면 많은 어려움 겪으실 수도 있습니다.   

 

일시적 2주택 리스트를 줄이는 가장 큰 방법은 조급함을 버리는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상급지 갈아타기는 기존 주택 보유와 거주 기간을 반드시 확보 한 후 단기간에 매도, 매수를 진행 하는 것입니다.

 

"하락장이 될지 상승장이 될지 누구도 예상할 수 없다는 말" 사실입니다. 

무리하지 않고 때를 기다리면 좋은 방향으로 갈 수 있을 거라 믿습니다. 

좋은 투자 하시길 바랍니다.